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깡통전세 피하는 법 총정리

by nejins 2025. 4. 11.
반응형

 

전세 사기 중 가장 무서운 유형, 바로 깡통전세입니다.
보증금보다 집값이 낮아 집을 팔아도 내 돈을 못 돌려받는 상황, 요즘 뉴스에서도 자주 보셨을 거예요.

이 글에서는 깡통전세를 피하는 핵심 체크리스트를 알려드릴게요.
계약 전 반드시 확인하고, 내 소중한 보증금 지켜요!


1️⃣ 전세가율 80% 넘으면 위험

전세가율 = 전세금 ÷ 매매가
전세가율이 80% 이상이면 깡통전세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.
매매가가 3억인데 전세가 2.8억? 무조건 의심!

👉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조회하기


2️⃣ 등기부등본으로 선순위 확인

전입신고보다 먼저 설정된 근저당, 전세권, 압류가 있다면 보증금은 후순위로 밀려납니다.
반드시 등기부등본 최신본을 열람하세요.

👉 등기부등본 열람하기 (대법원)


3️⃣ 건축물대장 확인으로 불법 건축물 방지

건축물대장에 ‘주택’으로 등록된 건물인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.
상가, 근린생활시설로 등록된 곳에 살면 전입신고조차 안 되는 경우도 있어요.

👉 건축물대장 열람 (정부24)


4️⃣ 보증보험 가입 가능한 집인지 확인

HUG나 SGI 전세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한지 확인하세요.
가입 불가능한 집이라면 보증금 보호받기 어렵습니다.

👉 HUG 전세보증보험 확인하기


5️⃣ 임대인 세금 체납 여부 확인

임대인이 세금을 체납하면 국세가 전세보증금보다 먼저 변제될 수 있어요.
관할 세무서에서 열람 가능하니 꼭 체크!


6️⃣ 계약 전 반드시 중개사 등록 여부 확인

불법 중개사무소는 피해 발생 시 책임지지 않습니다.
공인중개사 등록번호와 사무소 정식 등록 여부 꼭 확인!

👉 공인중개사 등록 조회


7️⃣ 무료 상담기관도 적극 이용하기

혼자 판단이 어려울 땐 전문가에게 물어보세요!
전월세 종합지원센터에 무료 상담 가능합니다.

👉 전월세 상담센터 바로가기


📌 마무리하며

깡통전세는 남의 일이 아닙니다.
계약 전 5분만 체크해도 수천만 원의 피해를 막을 수 있어요.

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려요!

반응형